신생아에게 가장 흔한 질환 황달. <br /> <br />혈액 속 빌리루빈이라는 색소가 많아져 온몸이 노랗게 보이는 것으로, 자연 소멸되기도 하지만, 합병증을 막기 위해 대부분 광선요법을 시행합니다. <br /> <br />특수 파장의 파란색 빛을 피부에 쪼여 황달 원인인 빌리루빈을 신장으로 직접 배출하는 원리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치료를 위해 신생아는 시력 보호 안대를 쓴 채 인큐베이터 안에서 강한 불빛을 쬐어야 하고, 하루 이상 부모와 격리돼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황달 치료에 효과적인 470㎚ 파장의 청색 OLED를 직물 위에 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표면이 울퉁불퉁한 직물 위를 폴리머를 이용해 평평하게 하고 그 위에 OLED를 입혀 높은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물세탁까지 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소영 / KAIST 박사과정생 : 실제로 사용하는 의류 위에다가 평탄화를 할 수 있는 물질을 코팅한 다음에 그 위에다가 전극을 포함한 여러 유기층들을 쌓아서 OLED를 제작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작은 건전지 한 개 정도의 저전압에서도 작동되며, 기존 치료기보다 빛의 세기를 10분의 1로 줄여도 황달 치료가 가능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은 개발한 웨어러블 청색 OLED로 신생아 혈청에 빛을 쬔 결과, 3시간 안에 빌리루빈 수치가 치료완료 수준까지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개발한 웨어러블 청색 OLED는 옷감 안쪽에서만 광선이 나오기 때문에 신생아가 옷을 입는 것만으로도 간단하게 황달 치료가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[최경철 /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: 기존의 기술 같은 경우는 설치용으로 그러니까 시간 장소에 구애를 받습니다. 개발한 옷 OLED는 베넷 옷 같은 형태로 만들어서 입히게 되면 똑같은 효과를 나타내면서….] <br /> <br />연구진은 개발한 웨어러블 청색 OLED의 임상 시험을 준비 중이며, 빠르면 2년 안에 상용화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12316264276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